미국 상원이 2025년 6월 18일, 주요 암호화폐 규제 법안인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68대 30의 초당적 표결로 통과시켰다. GENIUS Act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대한 최초의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는 것으로 상원이 디지털 자산을 규제하는 주요 법안을 통과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BC 뉴스의 기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빌 해거티(Bill Hagerty)의원은 "이 법안을 통해 미국이 암호화폐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는데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 미국 달러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고객을 보호하며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것이다. 오늘은 미국 혁신의 변곡점(an inflection point for innovation)으로 기억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토토사이트 돈 먹튀의 주요 내용과 배경은 다음과 같다.
• 법안은 공화당의 빌 해거티(Bill Hagerty, 테네시) 상원의원이 주도했으며 18명의 민주당 의원이 대부분의 공화당 의원들과 함께 찬성표를 던졌다. 반대표를 던진 공화당 의원은 랜드 폴(Rand Paul, 켄터키)과 조쉬 하울리(Josh Hawley, 미주리) 두 명뿐이었다.
• 해거티 의원은 이 법안이 미국의 암호화폐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달러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며 소비자 보호와 미 국채 수요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GENIUS 법안은 이제 공화당이 주도하는 하원으로 넘어가게 되며 하원에서도 디지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을 위한 초당적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민주당 내에서는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 가족의 이해충돌 문제를 지적하며 더 강력한 규제를 요구했다.
• 상원 은행위원회는 4월에 5명의 민주당 의원 지지로 GENIUS 법안의 초기 버전을 통과시켰으나 척 슈머(Chuck Schumer, 민주당 원내대표) 등은 더 강력한 국가안보와 자금세탁 방지 조항 강화를 요구하며 5월에 공화당 의원 2명과 함께 이 법안의 상정을 막았다.
• 최종적으로 초당적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더 많은 민주당 의원들이 찬성에 동참했고 법안은 68표의 찬성으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자신들의 요구가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고 평가하며 이번 통과를 입법적 성과로 받아들였다.
상원 은행위원회 상원의원인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매사추세츠)은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법안은 도널드 트럼프의 암호화폐 부정부패의 수익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비자 보호를 약화시키고 국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최근 공개된 재정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는 가족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회사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을 통해 2024년에 5,73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에는 “공직에 있는 동안 상·하원 의원이나 행정부 고위 공무원이 결제 스테이블코인 상품(payment stablecoin product)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워런 의원은 테러리스트, 마약 밀매자, 기타 범죄자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악용하는 것을 막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GENIUS 법안은 미국 내 암호화폐 산업 규제의 첫걸음이자 향후 하원 논의와 추가 입법 과정을 앞두고 있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제 상원을 통과한 GENIUS 토토사이트 돈 먹튀은 공화당 중심의 하원으로 넘어가서 바로 통과되고 대통령이 승인하는 절차를 밟게 될 것이다. 미국에서 법적 규제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곧 열리게 된다. 서클(Circle, 티커:CRCL)의 IPO 시기는 정말 절묘하다.
미국과 상황이 전혀 다른 한국에서 얘기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이슈는 필요성과 활용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더 많이 필요해 보인다. 일단 금융 기득권을 가진 곳에만 특혜가 될 수 있는 요건은 완화되었다는 점은 다행이다.
+ GNIUS Act + 트럼프 대통령의 2024년 재정보고 관련 (아래 영상 참고)
"카카오톡 오픈채팅에 참여하시면 최신 소식과 자료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참여하기)"
brian@trendw.kr